8월, 2021의 게시물 표시

QGIS 파이썬 콘솔 사용 - PyQGIS 개발자 쿡북 사용법 및 레이어 불러오기

이미지
QGIS에서 파이썬을 활용하기 위해 구글링도 하고 책도 많이 찾아 보지만, 뭐니뭐니해도 PyQGIS 개발자 쿡북 만큼 잘 정리되있는 자료를 찾아보기는 힘든 것 같다. 아무래도 QGIS 개발팀에서 운영하는 공식 help 사이트이다보니 당연한 얘기일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들어가서 자료들을 보다보면 왠만한 책들보다 chapter별로 정리가 참 잘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QGIS2에서 QGIS3으로 업데이트되면서 많은 모듈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구글링을 통해 찾아낸 정보를 적용하다보면 정의되지 않은 모듈 사용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면에서 PyQGIS 개발자 쿡북은 최신 정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오류를 발생시킬 확률이 적고 그것만으로도 큰 강점이 있다고 하겠다. PyQGIS 개발자 쿡북은 QGIS 버전별로 각각 별도의 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제공을 하고 있다. 내 PC에 설치된 QGIS 버전은 3.10.14 이기 때문에 아래의 사이트를 즐겨찾기 해두고 항상 접속해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곤 한다. https://docs.qgis.org/3.10/ko/docs/pyqgis_developer_cookbook/index.html 위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PyQGIS 사용법이 목차별로 잘 정리되어 있다. 내가 하고자 하는 작업을 목차에서 먼저 찾아서 들어가보면 왠만한 방법론들이 잘 설명되어 있다. 해당 작업에 제시된 파이썬 코딩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만으로도 PyQGIS를 공부하는데 참으로 도움이 많이 된다.  그래서, PyQGIS를 활용할 때는 항상 PyQGIS 개발자 쿡북을 최우선으로 활용하곤 하는데, 이번 글에서는 레이어 불러오기 페이지를 따라가서 벡터레이어를 불러오는 작업을 해 보려고 한다. 다음과 같이 파이썬 코드가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따라가되, 내 작업환경에 맞게끔 경로와 파일명만 변경해 본다. import os from qgis.core import * # Layer...

기상청 기후평년값의 정의와 자료 내려받기

기후평년값의 정의는 "‘0’으로 시작하는 해의 최근 30년간의 누년평균값" 입니다. 현재 기상에 대한 비교와 기후변화 예측에 활용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산출하여 제공하며, 이상기후 평가, 범정부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립, 방재 · 건설기준 설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주요지표입니다. 기상청에서는 세계기상기구(WMO)의 권고에 따라 매 10년 주기로 새로운 기후평년값을 산출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1991년~2020년의 새로운 기후평년값이 2021년 3월 25일부터 제공되고 있습니다.  (출처 :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가끔 "예년값"이라는 용어를 평년값과 혼용하여 쓰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예년자료라고 하면 평년자료와는 다르게 분석자가 임의의 과거 시간대(보통 최근 10년)를 정해서 현재자료와 비교, 분석하는 경우 사용되는 개념이고, 평년의 기준과는 엄연히 구분되므로,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겠습니다.   최근 기상청에서 새롭게 산정하여 제공하는 평년기후값은 기온, 강수량, 기압, 풍속, 습도 등이 있으며, 아래 링크된 기상자료 개방포털에서 자료 산정에 대한 정보와, 제공되는 위치정보들을 포함하여 제공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자료를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https://data.kma.go.kr/climate/average30Years/selectAverage30YearsKoreaList.do?pgmNo=188 기상자료개방포털에서는 특정 지점에서 관측되는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평년자료를 산정하였기 때문에, 강우-유출 분석 등 수문분석을 위해서는 유역평균강수량으로의 환산이 필요합니다. 유역평균강수량 계산은 티센분석등을 통해 새롭게 가공이 필요한데, 다음번에는 티센법을 활용한 유역평균강수량 산정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QGIS에서 파이썬 콘솔 사용법

이미지
QGIS는 ArcGIS와 마찬가지로 파이썬 언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파이썬 콘솔을 활용하여 QGIS에서 이루어 지는 대부분의 작업을 할 수 있는데, QGIS2와 QGIS3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파이썬 문법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여기에서는 QGIS3 버전을 기준으로 파이썬을 다루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파이썬 콘솔 접근 상단 메뉴의 Pulgins > Python Console, 또는 Ctrl+Alt+P를 누르면 Python Console창이 메인 윈도우 아래 열린다. 콘솔에는 ① Clear Console , ② Run Command , ③ Show Editor , ④ Option , ⑤ Help  의 총 5개 아이콘이 있다. Show Editor(편집기 표시)를 통해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거나 불러올 수 있어 원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