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기후평년값의 정의와 자료 내려받기

기후평년값의 정의는 "‘0’으로 시작하는 해의 최근 30년간의 누년평균값" 입니다.

현재 기상에 대한 비교와 기후변화 예측에 활용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산출하여 제공하며, 이상기후 평가, 범정부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립, 방재 · 건설기준 설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주요지표입니다.

기상청에서는 세계기상기구(WMO)의 권고에 따라 매 10년 주기로 새로운 기후평년값을 산출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1991년~2020년의 새로운 기후평년값이 2021년 3월 25일부터 제공되고 있습니다. (출처 :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가끔 "예년값"이라는 용어를 평년값과 혼용하여 쓰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예년자료라고 하면 평년자료와는 다르게 분석자가 임의의 과거 시간대(보통 최근 10년)를 정해서 현재자료와 비교, 분석하는 경우 사용되는 개념이고, 평년의 기준과는 엄연히 구분되므로,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겠습니다. 

최근 기상청에서 새롭게 산정하여 제공하는 평년기후값은 기온, 강수량, 기압, 풍속, 습도 등이 있으며, 아래 링크된 기상자료 개방포털에서 자료 산정에 대한 정보와, 제공되는 위치정보들을 포함하여 제공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자료를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https://data.kma.go.kr/climate/average30Years/selectAverage30YearsKoreaList.do?pgmNo=188

기상자료개방포털에서는 특정 지점에서 관측되는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평년자료를 산정하였기 때문에, 강우-유출 분석 등 수문분석을 위해서는 유역평균강수량으로의 환산이 필요합니다.

유역평균강수량 계산은 티센분석등을 통해 새롭게 가공이 필요한데, 다음번에는 티센법을 활용한 유역평균강수량 산정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QGIS 파이썬 콘솔 사용 - PyQGIS 개발자 쿡북 사용법 및 레이어 불러오기

QGIS에서 파이썬 콘솔 사용법